리눅스 명령어 sort CMD linux
파일의 정렬,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파일의 텍스트 줄을 스크린 상에서 정렬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. 즉 출력 내용을 정렬하여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. sort 명령어는 아무런 옵션 없이 사용되면 숫자나 알파벳 순으로 정렬하여 준다. 기본적으로 sort 명령어는 공백 문자 ( white space : space, Tab )를 필드 구분자로 인식한다.
[명령어 형식]
# sort /etc/passwd
# sort -r /etc/passwd
# sort -k 3 filename
# sort -t : -k 3 -n /etc/passwd
[명령어 옵션]
옵션 |
설명 |
-n |
숫자로 정렬한다. |
-r |
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. 기본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것이다. |
-o |
출력 결과를 파일에 저장한다. |
-t |
필드 구분자를 지정한다. ( 기본값은 공백이 기준이 된다. ) |
-k |
정렬할 필드를 지정한다. |
예. sort 정렬 실습
우선 # vi sortfile1 이라는 곳에 입력을 해 주셔야 합니다.
1번째는 첫번째 필드를 기준으로 정렬
2번째는 내림차순으로 정렬
3번째는 세번째 필드릴 기준으로 숫자로 정렬한 것입니다.
'공부합시다 >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명령어 grep CMD linux (0) | 2016.12.13 |
---|---|
리눅스 명령어 file CMD linux (0) | 2016.12.12 |
리눅스 명령어 diff CMD linux (0) | 2016.12.10 |
리눅스 명령어 cmp CMD linux (0) | 2016.12.09 |
리눅스 명령어 mail CMD linux (0) | 2016.12.08 |